leejhstory
NFS(network file system)에서 mount 하기 본문
CentOS_SVR에서
http://trend21c.tistory.com/1285 참고
/etc/fstab 파일을 열어 맨아래에 아래와 같이 NFS 설정했던 마운트 포인트를 추가로 입력해주면 된다.
# vi /etc/fstab
192.168.164.128:/exports/share /root/Desktop/mount nfs defaults 0 0
저장하고 나온 뒤
# mount -a
# reboot
[파일시스템 장치명] [마운트 포인트] [파일시스템 종류] [옵션] [dump관련설정] [파일점검 옵션]
-파일시스템 장치명 : 장치명을 지정
-마운트 포인트 : 장치가 연결된 마운트 지점
-파일시스템 종류 : 파티션이 사용하는 파일시스템 지정
-옵션 : 파일시스템의 속성을 설정하는 옵션
defaults (rw, nouser,auto,exec suid 속성을 모두 가지는 옵션)
auto : 부팅시 자동 마운트
noauto : 부팅시 자동마운트 안함
exec :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
no exec :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 안함
suid : setuid, setgid의 사용을 허용하는 옵션
nosuid : setuid, setgid의 사용을 거부
ro (read only) : 읽기 전용
rw (ead write) : 읽고 쓰기 가능
user : 일반 계정 사용자들도 마운트 할 수 있는 옵션
nouser : root만 mount 가능
usrquota : 일반 사용자 quota적용
grpquota : 그룹 quota 적용
-dump 관련 설정
0 : 덤프되지 않은 파일시스템
1 : 데이터 백업을 위해 dump가능
-파일점검 옵션
0 : 부팅시 fsck를 사용하지 않음
1 : 루트 파일시스템을 의미
2 : 루트 파일시스템 이외의 파일시스템을 의미
'운영체제 및 네트워크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DNS 마스터 / 슬레이브 (0) | 2017.02.23 |
---|---|
iSCSI 설명 / 서버 하드 추가 및 클라이언트 마운트 (0) | 2017.02.22 |
VNC-Viewer 이용하기 (리눅스 원격제어) (0) | 2017.02.20 |
sever->client 파일보내기 및 가져오기 (0) | 2017.02.20 |
네트워크 설정 및 방화벽 설정 / 원격 터미널 접속 설정 (0) | 2017.02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