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entOS_SVR에서
# yum -y install nfs* //nfs 설치
# rpm -qa | grep nfs-utils // nfs 설치 확인
# mkdir exports // exports디렉토리 생성
# cd /exports/
# mkdir share // /exports/share 디렉토리 생성
# vi /etc/exports 에서
/exports/share 192.168.164.*(rw, sync) 을 입력한다. ( 동기화 시킬수 있는 권한을 같이 주겠다.)
# systemctl enable nfs.service // 시작시 자동실행
# systemctl start nfs.service // 시스템 재가동
혹은 # systemctl restart nfs.service
# exportfs -v //외부 연결된 파일시스템을 확인하는 것.
클라이언트에서 마운트 시킨후에 파일을 만들어본다.
파일이 만들어지지 않을 시에 share 디렉토리의 권한을 상승시켜준다.
# chmod 707 share/
# systemctl restart nfs.service
다음 다시 클라이언트에서 파일을 만들고 확인할 수 있다.
# cd share
# ls
CentOS_Client 에서
이전까지 서버에다가 Client가 붙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었다.
# yum -y install nfs* // client 컴퓨터에도 nfs를 설치해 준다.
# cd /root/Desktop
# mkdir mount // mount 디렉토리 생성(서버의 share 디렉토리와 클라이언트의 mount 디렉토리를 연결 시킬(mount) 것이다.)
# mount -t nfs 192.168.164.128:/exports/share mount // -t는 type를 뜻함. 서버주소로 클라이언트에있는 mount 디렉토리를 mount(연결)시킨다.
데스크탑에 mount 디렉토리에 파일을 편집하여 마운트 확인을 한다.
# showmount -e 192.168.164.128 //마운트 확인?
클라이언트에서 재부팅해도 서버에 있는 폴더에 자동마운트 되게 해보기.
http://trend21c.tistory.com/1285 참고
/etc/fstab 파일을 열어 맨아래에 아래와 같이 NFS 설정했던 마운트 포인트를 추가로 입력해주면 된다.
# vi /etc/fstab
192.168.164.128:/exports/share /root/Desktop/mount nfs defaults 0 0
저장하고 나온 뒤
# mount -a
# reboot
[파일시스템 장치명] [마운트 포인트] [파일시스템 종류] [옵션] [dump관련설정] [파일점검 옵션]
-파일시스템 장치명 : 장치명을 지정
-마운트 포인트 : 장치가 연결된 마운트 지점
-파일시스템 종류 : 파티션이 사용하는 파일시스템 지정
-옵션 : 파일시스템의 속성을 설정하는 옵션
defaults (rw, nouser,auto,exec suid 속성을 모두 가지는 옵션)
auto : 부팅시 자동 마운트
noauto : 부팅시 자동마운트 안함
exec :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
no exec :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 안함
suid : setuid, setgid의 사용을 허용하는 옵션
nosuid : setuid, setgid의 사용을 거부
ro (read only) : 읽기 전용
rw (ead write) : 읽고 쓰기 가능
user : 일반 계정 사용자들도 마운트 할 수 있는 옵션
nouser : root만 mount 가능
usrquota : 일반 사용자 quota적용
grpquota : 그룹 quota 적용
-dump 관련 설정
0 : 덤프되지 않은 파일시스템
1 : 데이터 백업을 위해 dump가능
-파일점검 옵션
0 : 부팅시 fsck를 사용하지 않음
1 : 루트 파일시스템을 의미
2 : 루트 파일시스템 이외의 파일시스템을 의미